"활성화토론회서 '육지화 심각성' 제기
"갯골 물 유입면적 확장·모니터링 필요"

"소래습지의 육지화가 심해지고 있다. 바닷물을 끌어와서 습지를 다시 살리고 이를 위해 모니터링 등을 통해 현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남동구에 위치한 '소래습지생태공원'에 대한 보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과 함께 현재 상태에 대한 정확한 점검과 파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대 지역연고사업육성 사업단(이하 인천대 RIS)가 지난달 28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주최한 '소래습지생태공원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에 참석한 이혜경 인천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소래습지에 대한 보전대책이 시급하다는 말로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1990년대 후반 염전이 문을 닫은 뒤 소래습지에 염생식물이 번식해 육지화되기 시작, 생태공원으로서의 의미와 습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여타 전문가들 역시 소래습지 육지화에 대한 심각성을 제기했다.

고철환 서울대 명예교수는 "자연상태로 방치된 해양습지의 경우 바닷물이 갯골로 들어오면서 퇴적물이 쌓이는 것이 반복돼 10~20년 지나면 점차 육지화가 된다"며 "소래습지를 마르지 않도록 하려면 인위적으로 갯골을 연결하고 넓혀 물이 들어오는 면적을 늘려 습지를 보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보전대책에는 공감대를 이루고 현 상태 파악을 위한 모니터링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사무처장은 "생태공원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생물 서식이지만 소래습지는 절대보전지역과 이용지역도 구분되지 않았다"며 "지금 예산이 부족해 어떤 새가 찾고, 어떤 식물이 자라는지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우선 모니터링 등을 통해 습지의 현재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딧 사보(Judit Szabo)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경로 파트너십 사무국(EAAFP) 박사 역시 "철새 서식지로서의 높은 가치를 지닌 소래습지 보전 계획이 세워져야 한다"며 "정부 지원이 부족하다면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해 전문가와 소통하고, 관광과 보전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함께 작동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순민인턴기자 smlee@itimes.co.kr